찌니씨의 개발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찌니씨의 개발일기

메뉴 리스트

  • 홈
  • Java
  • Spring & Spring Boot
  • Git&Network&OS
  • Etc/IDE
  • 방명록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34)
    • TDD (0)
      • Theory (0)
    • Java (6)
      • Theory (5)
      • Stream (1)
    • Spring, Spring Boot (2)
      • Theory (2)
      • Setting (0)
      • Spring Security (0)
      • Spring Data (0)
      • Exception (0)
      • Validation (0)
    • DevOpt (0)
      • Theory (0)
      • Docker (0)
      • Kubernetes (0)
    • DataBase (1)
      • Theory (1)
      • SQL (0)
      • Postgres (0)
      • My-SQL (0)
      • Oracle (0)
    • Front (1)
      • JavaScript (0)
      • TypeScript (0)
      • React & Redux (0)
      • Vue.js (0)
      • node.js (1)
    • Operating System (OS) & Net.. (21)
      • Theory (1)
      • Git (9)
      • Linux (11)
      • C# (0)
    • Etc (2)
      • IDE( Integrated Development.. (2)
홈JavaSpring & Spring BootGit&Network&OSEtc/IDE방명록태그
  • TDD 0
    • Theory 0
  • Java 6
    • Theory 5
    • Stream 1
  • Spring, Spring Boot 2
    • Theory 2
    • Setting 0
    • Spring Security 0
    • Spring Data 0
    • Exception 0
    • Validation 0
  • DevOpt 0
    • Theory 0
    • Docker 0
    • Kubernetes 0
  • DataBase 1
    • Theory 1
    • SQL 0
    • Postgres 0
    • My-SQL 0
    • Oracle 0
  • Front 1
    • JavaScript 0
    • TypeScript 0
    • React & Redux 0
    • Vue.js 0
    • node.js 1
  • Operating System (OS) & Net.. 21
    • Theory 1
    • Git 9
    • Linux 11
    • C# 0
  • Etc 2
    • IDE( Integrated Development.. 2

검색 레이어

찌니씨의 개발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Operating System (OS) & Network & VCS/Linux

  • [Ubunto 20.04] Linux ssh설치

    2022.11.10 by 찌니씨

  • [Ubuntu 20.04] Linux Redis

    2022.11.09 by 찌니씨

  • [Ubuntu] Linux 우분투 SVN 설치

    2022.11.09 by 찌니씨

  • [Ubuntu 20.04] Linux 우분투 크롬(Chrome)설치 하기

    2022.11.09 by 찌니씨

  • [Ubuntu 20.04] Linux 우분투 kakao설치

    2022.11.08 by 찌니씨

  • [Ubunt 20.04] Linux 우분투에서 YUM사용

    2022.11.07 by 찌니씨

  • [Linux] Linux Ubuntu 설치

    2022.10.18 by 찌니씨

  • [Linux] 리눅스와 리눅스 배포판

    2022.10.18 by 찌니씨

[Ubunto 20.04] Linux ssh설치

ssh 설치 $ sudo apt-get install ssh 포트 설정 $ sudo vi /etc/ssh/sshd_config #/etc/ssh/sshd_config################################################# Include /etc/ssh/sshd_config.d/*.conf #Port 22 Port 27 //사용 할 포트번호 #LoginGraceTime 2m 로그인 유지 시간 LoginGraceTime 120 #PermitRootLogin prohibit-password 비밀번호 사용 PermitRootLogin prohibit-password #StrictModes yes StrictModes yes #MaxAuthTries 6 #MaxSessions 10..

Operating System (OS) & Network & VCS/Linux 2022. 11. 10. 17:37

[Ubuntu 20.04] Linux Redis

$ apt-get install redis-server //redis 설치 $ redis-server --version //version 확인 //추가로 필요한 패키지 및 업데이트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 sudo apt-get install -y tcl-dev $ sudo apt-get install -y gcc $ sudo yum -y install gcc-c++ $ sudo apt-get install -y make redis 설정 $ vmstat -s //memory확인 $ sudo vi /etc/redis/redis.conf cluster-enabled yes //클러스터 사용여부 cluster-config-..

Operating System (OS) & Network & VCS/Linux 2022. 11. 9. 20:30

[Ubuntu] Linux 우분투 SVN 설치

$ yum install subversion or $ yum install mod_dav_svn Repository 생성 $ mkdir /home/jini/svn //루트 저장소 $ cd /home/jini/svn $ svnadmin create --fs-type fsfs svnrepo //사용할 저장소 지정 or $ sudo svnadmin create svnrepo SVN service start $ svnserve –d –r /home/jini/svn/ //default Port 3690 $ svn checkout svn://192.0.0.1/svnrepo //설정 확인 인증 사용자 생성 $ vi repos/conf/svnserve.conf [general] #인증 되지 않은 사용자 접근 거부 an..

Operating System (OS) & Network & VCS/Linux 2022. 11. 9. 17:08

[Ubuntu 20.04] Linux 우분투 크롬(Chrome)설치 하기

Chrome 파일 다운로드 https://www.google.com/intl/ko/chrome/ 64비트. deb 선택 파일 저장 다운받은 경로로 이동해서 우버튼 클릭 설치 또는 $ wget https://dl.google.com/linux/direct/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 $ sudo dpkg -i google-chrome-stable_current_amd64.deb

Operating System (OS) & Network & VCS/Linux 2022. 11. 9. 13:47

[Ubuntu 20.04] Linux 우분투 kakao설치

Wine 설치 How to Install and Use Wine on Ubuntu 20.04 $ sudo dpkg --add-architecture i386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wine64 wine32 $wine --version $ wget -qO- https://dl.winehq.org/wine-builds/winehq.key | sudo apt-key add - $ sudo ap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 sudo apt-add-repository "deb http://dl.winehq.org/wine-builds/ubuntu/ $(lsb_release -cs) main" $ sudo apt install --i..

Operating System (OS) & Network & VCS/Linux 2022. 11. 8. 15:38

[Ubunt 20.04] Linux 우분투에서 YUM사용

Ubuntu 20.04.1 LST yum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 install yum UBUNTU에서 pakages를 다운하는 홈페이지 주소가 추가되어 있지 않음 $ sudo vi etc/apt/source.list }} --파일 제일 하단으로 이동 o --커서 한줄 아래 입력 $ deb http://archive.ubuntu.com/ubuntu bionic main restricted universe multiverse $ deb http://archive.ubuntu.com/ubuntu bionic-security main restricted universe multiverse $ deb http://archive.ubuntu.com/ubuntu bionic-updat..

Operating System (OS) & Network & VCS/Linux 2022. 11. 7. 14:20

[Linux] Linux Ubuntu 설치

Linux Ubuntu 설치 & 환경설정 sudo: 현재 계정에서 root 권한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실행할 때 사용 따라서 root 계정으로 로그인했을 경우에는 굳이 명령어 앞에 sudo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현재 블로그의 내용은 해당 명령어를 실행했을 당시 로그인 계정이 root가 아닐 경우를 대비하여 간간히 "sudo"를 붙여서 사용하였다. (서버 재시작 했을 경우 등) 버전 확인 //Linux check version $ uname -a //Ununtu check version $ cat /etc/issue //하드용량 체크 $ df -h //메모리 체크 $ free -m //CPU 코어수 확인 $ cat /proc/cpuinfo | grep processor | wc -l $ cat /proc/..

Operating System (OS) & Network & VCS/Linux 2022. 10. 18. 17:58

[Linux] 리눅스와 리눅스 배포판

1991년 당시 핀란드 헬싱키 공대 대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가 미닉스 OS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작업해서 만들었다. • 리눅스와 리눅스 배포판 ◦ 리눅스 (linux) 리눅스 커널 (Linux kernel)에 기반을 둔 오픈 소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일반적으로 리눅스 배포판 안에 패키지 처리됨. ◦ 리눅스 배포판 리눅스 커널(Linux kernel)을 중심으로 여러 지원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응용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를 포함)를 같이 묶어서 구성한 운영체제 GNU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 ◦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오픈 소스 개방형 협업을 장려하는 탈중앙 방식의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 모놀리딕 (Monolithic) ≠ 마이크로커널 (microkernel) 단일형 커널이라고도 함. 커널..

Operating System (OS) & Network & VCS/Linux 2022. 10. 18. 13:35

추가 정보

페이징

이전
1 2
다음
jini's Git
찌니씨의 개발일기 © Jini's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